정의
월경통은 생리를 하는 여성들의 약 절반 정도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며 생리 중 가벼운 통증을 느끼는 것은 정상입니다.
그러나 생리 기간 중 정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통증을 느낄 경우 월경통에 해당하며, 이러한 월경통은 크게 두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발성(일차성) 월경통 : 기질적인 원인(병)이 없이 나타나는 월경통으로 초경 1~2년 이내에 발생하며 주로 젊은 여성에서 생기나 40대까지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통증은 주기적인 양상을 보이며 생리 시작 직전 혹은 직후에 시작하여 2-3일 이내에 증상이 사라집니다. 원인으로는 가족력, 출산 미경험, 카페인 복용 및 스트레스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속발성(이차성) 월경통 : 골반 내에 월경통의 원인이 되는 기질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생리 시작 전 1-2주 전부터 나타날 수 있고 생리가 끝난 후 며칠까지도 증상이 지속되는 통증을 가진 경우 속발성 월경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원인
발성 월경통의 경우 자궁 내막 에서 합성되는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산이 증가되는 것, 또는 가족력이나 카페인 복용 및 스트레스 등이 그 원인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속발성 월경통의 경우 골반 내의 기질적 질환이 원인이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자궁 내막증, 자궁 선근증, 자궁 근종, 골반 내 유착 등이 있으며 속발성 월경통이 의심될 때는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월경통이 있는 경우, 원발성 월경통과 속발성 월경통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속발성 월경통을 일으키는 원인 질환의 확인을 위해 초음파나 복강경 등으로 자궁 과 난소 의 기질적 이상을 검사해야 하며 검사 결과 기질적 원인이 있을 경우, 질환 및 환자의 상태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원발성 월경통의 경우에는 1차적으로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의 합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먹는 피임약은 원발성 월경통을 가진 여성에게 사용할 경우 90%이상의 치료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피임이 필요한 환자라면 먹는 피임약 복용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비정상 자궁출혈
해당 증상들: 월경 과다, 부정 출혈, 희발 월경, 과소 월경, 불규칙 과다 월경, 빈발 월경 등
정의
정상적인 생리의 정의는 ‘21-35일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약 30-50ml정도의 출혈’을 의미하며 보통 생리 기간은 7일 이내입니다. 비정상 자궁출혈은 어떠한 형태로든 이 정상의 범위를 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월경과다, 부정 출혈, 희발 월경이 있으며 이 외에도 과소 월경, 불규칙 과다 월경, 빈발 월경 등이 있습니다.
월경 과다는 규칙적인 월경을 하지만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혹은 장기간 월경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부정 출혈은 정기적인 월경 중간에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희발 월경은 생리 주기가 35일을 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외에도 과소 월경은 규칙적이나 양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경우를, 불규칙 과다 월경은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월경이 불규칙적으로 장기간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며, 빈발 월경은 주기적으로 생리를 하지만 그 주기가 21일 이내로 짧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원인
월경 과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자궁 근종, 자궁 선근증,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 폴립, 자궁 내막암과 자궁 경부암 그리고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궁이나 부속 기관에 이상이 없이 월경 과다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정 출혈의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는 자궁 내막 혹은 자궁경부의 폴립, 자궁경부의 염증 등이 있으며 자궁 경부암 이나 자궁 내막암 을 가진 경우도 이와 같은 출혈이 한 증상으로서 나타납니다.
희발 월경의 원인은 무월경의 원인과 비슷하여 시상 하부 - 뇌하수체 의 이상이나 호르몬의 조절 이상, 내분비계 이상 (고 프로락틴 혈증, 갑상선 질환) 및 과도한 운동이나 체중 변화,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호르몬 조절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 만성 무배란 등이 있습니다.
과소 월경의 경우 신경성 식욕 부진이나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등이 원인이며 황체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는 일부 피임법에 의하여 자궁내막이 안정화 되는 경우에도 과소 월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규칙 과다 월경은 자궁 근종, 자궁 선근증, 자궁내막 폴립, 자궁내막 증식증 및 암에 의해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빈발 월경의 경우, 주된 원인은 희발 월경에서와 같이 무배란인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과 치료
원발성 월경통의 경우 자궁 내막 에서 합성되는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산이 증가되는 것, 또는 가족력이나 카페인 복용 및 스트레스 등이 그 원인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속발성 월경통의 경우 골반 내의 기질적 질환이 원인이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자궁 내막증, 자궁 선근증, 자궁 근종, 골반 내 유착 등이 있으며 속발성 월경통이 의심될 때는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과 치료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이 국소적 혹은 전체적으로 증식되는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 내막암이 될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주로 폐경기 혹은 폐경 이행기에 일어나지만 무배란과 같은 배란 장애가 있는 경우 젊은 나이에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희발 월경, 무월경이 나타난 후에 불규칙하거나 다량의 자궁 출혈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이러한 경우 초음파를 통해 자궁 내막의 두께가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므로 자궁 내막 생검 이나 소파술 을 시행해야 하며, 황체 호르몬을 이용한 호르몬 요법으로 대부분 효과적으로 치료됩니다.
그러나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서 자궁 내막암의 발생 위험성이 높거나 자꾸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자궁 선근증
자궁내막이 국소적 혹은 전체적으로 증식되는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 내막암이 될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주로 폐경기 혹은 폐경 이행기에 일어나지만 무배란과 같은 배란 장애가 있는 경우 젊은 나이에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희발 월경, 무월경이 나타난 후에 불규칙하거나 다량의 자궁 출혈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이러한 경우 초음파를 통해 자궁 내막의 두께가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므로 자궁 내막 생검 이나 소파술 을 시행해야 하며, 황체 호르몬을 이용한 호르몬 요법으로 대부분 효과적으로 치료됩니다.
그러나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서 자궁 내막암의 발생 위험성이 높거나 자꾸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정의
비정상 자궁 출혈이 있으면서 기질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를 기능성 자궁 출혈이라고 합니다.
원인
일반적으로 많은 기능성 자궁 출혈은 무배란이 원인입니다. 배란이 되지 않으면 난소 에서 에스트로겐의 생산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유지되는 반면, 무배란으로 인해 규칙적인 생리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에스트로겐에 의해 증식된 자궁 내막이 비정상적으로 탈락하며 출혈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무배란이 일어나는 경우는 초경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초기 사춘기, 폐경 전후의 여성과 수유기에 흔하게 나타나며 병적인 상태로 무배란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갑상선 질환, 고 프로락틴 혈증, 그리고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
기능성 자궁 출혈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른 가능한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능성 자궁 출혈로 진단이 된 경우에는 환자의 출혈이 배란성인지 무배란성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배란 여부를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배란성 자궁 출혈이 월경과다 혹은 불규칙 과다 월경과 관련이 된 경우 출혈량을 줄이기 위하여 NSAID와 같은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란을 하지 않는 기능성 자궁 출혈의 일차적 치료에는 호르몬제가 이용되며 환자의 출혈량과 연령 등을 고려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학적으로 안정적인 경우에는 먹는 피임약의 사용으로 주기를 조절하고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정의
무월경은 생리가 멈춘 상태를 의미하여 무월경의 발생 양상에 따라 원발성 무월경과 속발성 무월경으로 나뉩니다.
원발성 무월경 : 2차 성징은 나타났으나 16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 혹은 2차 성징이 없으면서 14세까지 초경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속발성 무월경 : 정상적으로 월경을 하던 여성이 자기 주기의 3번 이상 생리가 없거나, 혹은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해당됩니다.
원인
원발성 무월경은 생식기의 선천성 기형, 염색체 이상, 효소 혹은 호르몬의 결핍, 성선 의 무발생, 난소 부전 혹은 시상 하부 - 뇌하수체 축의 차단 등이 원인이 됩니다.
속발성 무월경의 대표적인 원인은 임신과 수유에 따른 무월경입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생리적 무월경을 제외하고는 무월경은 병적인 상태입니다.
원인으로는 난소의 기능 부전, 시상 하부 혹은 뇌하수체의 병변,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호르몬 조절에 영향을 주는 모든 상태가 있고, 호르몬 조절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갑상선 기능 이상, 고 프로락틴 혈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 과 같은 내분비계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 그리고 시상 하부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격한 운동, 심한 체중의 변화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과 치료
원발성 무월경의 경우 선천성 이상이 원인이므로 적절한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속발성 무월경의 경우 역시 다양한 내분비계 의 조절 이상과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그에 맞는 치료가 중요합니다. 속발성 무월경을 진단할 때는 가장 먼저 임신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임신 여부를 확인한 후에는 갑상선 기능과 프로락틴 의 수치를 확인하고 이로 인한 무월경인 경우 원인이 되는 질환을 먼저 치료해야 합니다.
이 외에 무월경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호르몬의 분비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될 수 있는 호르몬으로는 에스트로겐, 황체 형성 호르몬, 그리고 경우에 따라 남성 호르몬의 과다 분비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황체 호르몬 소퇴성 출혈을 검사하기도 하는데 이는 황체 호르몬을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 후 출혈이 있는 지를 보는 검사입니다.
이 외에도 초음파 등을 통해 자궁이나 부속 기관에 이상이 없는지를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무월경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인 질환이 없는 호르몬 조절 장애에 의한 무월경일 경우, 현재 임신 계획이 없는 여성이라면 먹는 피임약을 복용하여 주기적으로 월경을 하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